파이썬 자료형 리스트의 사용법과 활용
파이썬에서 리스트는 여러 값들을 한 번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자료형 중 하나입니다. 이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리스트에 대한 기본적인 사용법과 중첩 리스트, 그리고 스택 구조로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1. 리스트 기본 사용법 리스트는 대괄호 안에 원소들을 쉽표(,)로 구분해서 나열합니다. 순서대로 인덱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고 원소의 추가, 삭제, 수정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 그리고 원소의 데이터 타입이 정해져 있지 않아 숫자, 문자열, 리스트, 딕셔너리 등 다른 데이터 타입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. 아래는 기본적인 사용 예시입니다. # 숫자들로 이루어진 리스트 numbers = [1, 2, 3, 4, 5] # 문자열들로 이루어진 리스트 fruits = ["mango", "banana..
파이썬의 시각화 필수 도구: Matplotlib
데이터를 분석하거나 다룰 때, 숫자만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. 이럴 때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쉽게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한데, 오늘 소개할 라이브러리는 바로 파이썬의 대표적인 시각화 라이브러리 Matplotlib입니다. 1. Matplotlib란? Matplotlib는 파이썬에서 2D 형태의 그래프, 이미지 등을 그릴 때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. 가장 기본적인 라인 그래프부터 고급 시각화까지 다양한 차트와 플롯을 그릴 수 있습니다. Matplotlib은 주로 개별 연구자, 학자, 기업 내부에서 데이터 시각화 목적으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입니다. 많은 과학자, 엔지니어, 데이터 분석가들이 Matplotlib으로 생성한 그래프나 차트를 연구 논문, 블로그, 튜토리얼, 교재 등 다양한 매체에 ..
파이썬의 데이터 구조: 리스트, 튜플, 세트, 딕셔너리의 차이점
파이썬에서 자주 사용하는 네 가지 데이터 구조인 리스트, 튜플, 세트, 딕셔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이 네 가지 데이터 구조의 특징과 차이점을 제대로 이해하면, 파이썬 프로그래밍이 훨씬 더 효율적이고 재미있게 느껴질 것입니다. 1. 리스트(List) 정의: 순서가 있는 변경 가능한 항목의 집합입니다. 특징: 중복된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, 인덱스를 통해 접근합니다. 예제: fruits = ["딸기", "키위", "포도"] fruits.append("오렌지") print(fruits[2]) # 출력: 포도 2. 튜플(Tuple) 정의: 순서가 있는 변경 불가능한 항목의 집합입니다. 특징: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한번 생성하면 내부의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. 예제: coordinates = (39.5665..